이번엔 조준기 셋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레스트 셋팅때 언급 했듯이 활을 처음에 셋팅 할 때 디테일한 셋팅은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 건강에 해로우므로
적당한 선에서 마무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활을 셋팅하고 활이 안정될 때 까지 천여발에 가까운 화살을
날린 후에 다시 튜닝을 통해 디테일한 셋팅을 하게됩니다. 여기에 장비를 사용하는 중간중간. 시합을 나가기 전과 후에
튜닝과 셋팅을 다시 점검 하면서 활을 만지게 됩니다.
처음 활을 만질때는 활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의미를 두고, 튜닝을 위한 셋팅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우선 핍 싸이트를 통해서 보이는 조준기의 단면에 시트지를 붙이도록 하겠습니다.
이는 조준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문구점에서 판매하는 시트지와 조준기의 렌즈 캡. 문구용 칼을 준비 합니다.
시트지의 접착면을 위로 향하게 두고 그 위에 렌즈 캡을 붙입니다.
칼날을 캡의 외곽면에 접하게 고정을 시킨후에 캡을 돌려 시트지를 잘라 냅니다.
-칼을 움직이는 것 보다 캡을 움직이는게 훨씬 편리 합니다.
깔끔하게 잘라 졌습니다. 렌즈의 안쪽도 같은 방법으로 잘라 냅니다.
완성이 되었습니다.
이제 조준기를 셋팅하기 전에 상하로 수평을 이루는 곳을 찾습니다.
회사 사무실의 책꽂이가 수평을 이루는 장소로 결정 되었습니다.
[회사에서 일은 안하고 이러고 있습니다. 참고로 제가 사장이면 활쏘는 직원은 절대 채용 하지 않겠습니다.]
책꽃이에 조준기의 Mounting Block을 답니다.
조준기를 달아 조준기의 Extension 부분의 수평을 측정 합니다.
-책꽃이의 수평과 일치 합니다-
다음으로 Sight의 Frame부분의 수평을 측정 합니다.
-사진과 같이 한쪽으로 틀어져 있습니다-
Frame뒷 부분의 나사를 렌치로 풀어서 다시 수평에 맞게 체결 합니다.
이제 수평이 맞았습니다.
Sight와 Scope를 조립 합니다.
사진에서 보이 듯이 한눈에도 Scope의 물방울 수평이 맞지 않음을 알수 있습니다.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원인을 파악하기 전에 일단 조준기의 각종 나사들이 잘 조여져 있는디 다시 확인을 합니다.
이상이 없을 경우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진의 화살표 같이 Scope뭉치와 Sight를 연결 해주는 부분이 틀어진 경우.
-Scope의 물방울이 잘못 달아진 경우
-Frame이 틀어진 경우
Frame의 수평을 다시 확인 해 본 결과 Frame의 수평은 이상이 없습니다.
-물방울의 문제라면 물방울을 떼 내고 물방울이 들어가는 구멍을 갈아내어 수평을 맞춘 후에 사용 할 수 있지만
번거로운 작업 이므로 패스 하도록 하겟습니다.[과거에는 큰 물방울 사용하기 위해 Scope를 갈아서 사용 했었습니다.]
- Scope뭉치와 Sight를 연결 해주는 부분의 문제라면 나사의 패킹을 사포로 적당히 갈아서 맞출 수 있지만 이 부분도
쉽게 결정하여 실행 하기에는 아직 셋팅 단계에 불과 하므로 패스 합니다.
Frame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했었던 뒷 부분의 나사를 렌치로 풀어서 이번에는 Sight 수평에 맞추어 나사를 체결 합니다.
Sight의 수평이 맞았습니다. Sight의 물방울 을 확인 하기 위해서 수평이 맞은 Sight를 반바퀴 돌려 상하를 뒤집어 봅니다.
-사진과 같이 상,하 편차에 따라 Sight의 물방울의 수평이 맞지 않음을 알수 있습니다.
-Sight의 물방울 자체가 틀어져 있다는 결론 입니다-
일단 적당한 선에서 수평을 맞추었으므로 활에 장착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활에 장착 할 때에는 Mounting Block 부분의 장착에 좀더 신경을 써서 장착하기를 권해 드립니다.
Mounting Block과 활의 결속이 잘 못 되었을 경우 활을 쏠때의 진동으로 인하여 나사산이 망가질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Mounting Block의 접시머리 나사가 깨져 Mounting Block과 활이 분리되면서 활의 나사구멍에 나사산이
박혀 빠지지 않는 결과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실제 사례들이 종종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진동 데미지로 인하여 활의 나사산이 망가져 Mounting Block을 조립 할 수 없는 결우가 발생 합니다.
이런 사례들의 발생을 막기 위해서 Mounting Block과 활 사이에 얇은 고무패킹을 덧 대거나 밀착식 그리스를 바르는 방법으로
활과 조준기를 보호 하기도 합니다.
저는 이런 방법 보다 록타이트를 나사에 바르는 방법을 선택 했습니다.
사진에 보이는 록타이트는 나사와 나사산 사이에 침투를 하여 나사를 단단히 결속 시켜주는 역활을 합니다.
또한, 록타이트가 본드라고는 하나 해당 제품은 고형으로 단단하게 굳는 본드가 아닌 액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형태의 본드 입니다. 즉, 나사산과 나사 사이에 침투한 록타이트가 액체 상태를 유지하므로 윤활 역활을 하여 나사나 나사산의
망가짐을 방지 합니다. 록타이트가 완전히 굳지 않는 관계로 힘을 주어 나사를 돌리면 나사의 분리가 가능 한 특수 록타이트 입니다
록타이트를 산지 오년 가까이 지났는데도 액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나사에 고르게 도포 합니다.
이제 Mounting Block을 활에 장착 합니다.
조준기의 장착이 끝나면 사진과 같이 조준기 맞은편에 위치한 활의 Support 부분에 수평기를 대고 활의 수평과
조준기 물방울의 수평이 맞는지 비교 합니다. 큰 차이가 없으면 맞는 것으로 보고 조준기의 셋팅을 완료 합니다.
[보다 미세한 차이는 튜닝때 보정 하기로 합니다.]
'▶ Archery Talk > ▷ 컴파운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퀵슈를 이용한 페이퍼 튜닝 툴 만들기 (0) | 2013.03.22 |
---|---|
스테비와 웨이트의 상관관계 (0) | 2013.03.17 |
컴파운드 보우 셋팅-2 레스트장착[Compound Bow Setting] (0) | 2013.03.16 |
컴파운드 보우 셋팅-1 활 상태 검사[Compound Bow Setting] (0) | 2013.03.16 |
[스크랩] 자세(엥커링)교정중... (0) | 2013.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