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습작 노트/▷ 문화 예술 과학 19

불편한 편의점-김호연

행복한 가정은 모두 비슷하게 닮았지만, 불행한 가정은 불행한 이유가 각각 다르다. (톨스토이 -안나카레니나 중에서) 불편한 편의점은 옴니버스 형식을 한 장편소설이다. 모두 여덟 꼭지로 구성된 소설은 편의점을 중심으로 한 꼭지마다 새로운 인물이 등장해서 다양한 이야기를 털어놓는다. 옴니버스의 장점은 아라비안 나이트같이 다양한 이야기를 한권의 책을 통해 읽을 수 있는 재미가 있다. 하지만, 작가가 던져주는 메시지를 빼면 등장인물에 대한 이해도나 스토리의 개연성 등 여러 면에서 허술한 부분들이 쉽게 노출되는 단점이 있다. 불편한 편의점 역시 후반부 주인공의 과거사와 관련된 장황한 이야기에 큰 공감을 얻지 못하는 것도 옴니버스 형식이 주는 단점이라고 할 수 있다. 마치 작가의 작위적인 장치들을 조건 없이 받아들..

훌훌 - 문경민 (세상이 알아야 하는 고통)

살려 주세요. 첫 문장은 아니지만 첫 문장과 다름없다. 교무실에서 선생님과 상담하는 장면으로 시작되는 소설 훌훌은 선생님의 컴퓨터 배경화면에 깔린 코믹 재난 영화 포스터 이야기로 시작한다. 이 시작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코믹 재난 영화 주인공의 살려 달라는 외침은 관객에게는 재미있는 웃음거리에 불과하다. 눈물과 콧물로 범벅된 주인공 얼굴은 그저 희화화된 캐릭터 그 이상의 의미는 없다. 주인공은 그 포스터에 자신을 투영시킨다. 저자 문경민 씨는 소설 훌훌로 제12회 문학동네 청소년 문학상 대상을 수상했다. 저자는 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소설을 썼다고 밝혔다. 그리고, 라고 덧붙였다. 누군가의 고통을 우리가 알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리고, 상대적으로 소외된 사람들의 고통..

안나카레니나-조건없는 사랑

행복한 가정은 모두 비슷하게 닮았지만, 불행한 가정은 불행한 이유가 각각 다르다. 러시아의 대 문호 레프 톨스토이가 1876년 에 완성한 장편 소설 안나 카레니나는 소설 전체를 아우르는 하나의 문장으로 시작합니다. 이 문장을 이해하는 것은 소설 전체를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가 됩니다. 톨스토이가 지향하는 문학관과 맞닿아 있는 거죠. 행복한 가정이 모두 비슷한 이유는 하나의 조건이 있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만일 행복한 이유가 다양하게 존재한다면 는 문장을 쓰지 않았을 것입니다. 톨스토이는 행복한 가정이 비슷하게 닮은 이유는 사랑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행복의 조건이 돈과 같은 물질적인 부분이 아니라 사랑이라는 정신적 풍요로움이라고 강조합니다. 재화(돈)와 같은 물질은 인간의 감각을 쉽게 자극합니다. 돈은..

빨간머리 앤 들여다 보기(2)

2. 빨간머리 앤과 초록 지붕의 집 지난 게시글에서는 빨간 머리 앤의 활달함 뒤에 숨겨진 슬픈 현실을 들여다봤습니다. 소설 속 등장인물이 처한 현실을 깊이 있게 들여다보는 것은 소설의 전체적인 내용을 잘 이해하는 것과 함께 소설을 더욱 풍성하게 해석하는 재미를 줍니다. 명랑 쾌활한 앤은 빨간 머리입니다. 매슈가 자신있게 말했다. "빨간색이구나. 그렇지?" 여자 아이가 체념어린 목소리로 말했다 "그래요, 빨간색이에요. 이제 제가 왜 완전히 행복해질 수 없는지 아셨죠? 머리 색깔이 빨간 사람은 누구나 그래요. 전 주근깨나 초록색 눈이나 깡마른 몸 같은 건 아무래도 좋아요. 그런 것들은 상상으로 지워 버릴 수 있으니까요. 화사한 장미꽃같이 발그레한 피부에 눈은 아름답게 반짝이는 보랏빛이라고 상상할 수 있어요...

빨간머리 앤 들여다 보기(1)

빨간머리 앤 들여다 보기(1) 빨간머리 앤은 말 많고, 유쾌한 여자 아이의 성장 드라마로 알려져 있습니다. 어린이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빨간머리 앤이 전달하는 훈훈한 이야기는 소설이 처음 발표된 1908년부터 지금까지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았습니다. 특히 시대나 세대를 뛰어넘는 이야기와 앤의 화법은 소설 주인공에게 생명을 불어넣는 힘이 되고 있습니다. 빨간머리 앤은 성장 소설이라는 점에서 소설 대한 평가는 앤이 보여주는 겉모습에 많이 치우쳐져 있습니다. 그래서, 독자의 감성을 자극하기 위해 나열된 많은 요소들은 앤의 내면을 들여다보는데 다소 방해가 되기도 합니다. 빨간 머리 앤의 이야기가 보이는 외면이 아닌 내면을 이해함으로써 소설을 폭넓게 해석하는 시야를 넓히도록 하겠습니다. 1. 빨간머..

어린왕자-생택쥐페리

나는 이렇게 진심을 털어놓고 이야기할 사람도 없이 혼자 살아오던 끝에. 여섯 해 전, 사하라 사막에서 비행기 사고를 만났다. 모터에서 무언가가 부서진 것이다. 기관사도 승객도 없었던 터라 나는 그 어려운 수리를 혼자서 감당해 볼 작정이었다. 나로서는 죽느냐 사느냐 하는 문제였다. 겨울 일주일 동안 마실 물밖에 없었다. 첫날 저녁, 나는 사람이 사는 못에서 사방으로 수만 리나 떨어진 사막 위에 누워 잠이 들었다. 넓은 바다 한가운데서 뗏목을 타고 을러가는 난파선의 뱃사람보다도 훨씬 더 외로운 처지였다. 그러니 해뜰무렵 이상한 작은 목소리가 나를 불러 깨웠을 때, 내가 얼마나 놀랐겠는가. 그 목소리는 말했다. "저... ... 양 한 마리만 그려 줘!" "뭐?" "양 한 마리만 그려줘... ..." 나는 벼..

카프카의 변신

그레고리는 어느 날 잠에서 깼을 때 자신의 몸이 곤충으로 변한 것을 발견합니다. 주인공은 변화한 것이 아니라 변신한 것이죠. 여기서 변신이라는 제목을 생각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인공인 그레고리가 변하는 과정은 생략된 체 곤충으로 바뀐 상황만 묘사하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변화와 변신은 엄연히 다릅니다. 변화는 바뀌어가는 현상을 객관적으로 관찰이 가능합니다. 서서히 변하든 빠르게 변하든 타자가 변하는 대상을 관찰하고 인지 가능하기에 변화한다고 표현합니다. 이는 우리가 체득하는 자연의 변화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변신은 느닷없이 보이는 모습입니다. 변화가 모두 완료되고 난 다음에 그 상황을 맞이하면, 타자는 그것이 변화한 것이 아니라 변신한 것으로 받아들입니다. 주인공 그레고리가 변화한 것이 아니..

영화 기생충-끝에 서있는 사람들

영화 기생충-끝에 서있는 사람들 Q: 안녕하십니까? 끝에서 있는 사람들이란 주제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A: 네.안녕하세요. Q: 끝에 서있는 사람들. 음. 뭔가 의미심장한 이야기 일 것 같지만 잘 와 닿지는 않네요. A: 두리뭉실하죠? 사람들 이야기인데, 그 사람들이 끝에 서 있는 사람들이라는 설명을 덧붙이면 좀 쉽게 다가오나요? Q: 훨씬 쉽네요. 그러니까 사람 사는 이야기인데 그 사람이 끝에 서있다는 말로 들립니다. A: 네. 맞습니다. Q: 왜 하필이면 끝이죠? A: 끝을 통해서 전체를 들에다 보자는 춰지죠. 전체를 통해 어느 한 부분을 이해할 수도 있겠지만 어느 한 부분을 짚어서 전체를 이해할 수도 있습니다. Q: 그렇고요. 전체와 부분 중에서 부분에 집중함으로써 전체를 이해하겠다는 말씀이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