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성 훈련 법
도덕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하지만, 누구나 중요하게 생각하는 도덕성을 묻는 상황이
나에게 갑자기 다가온다면? 질문에 대한 대답은 당연히 "나는 동덕적이다."이지만, 의식하지 못 한
상황에서도 그 대답을 잘 지켜 낼 수 있을까요?
도덕성(정직)과 관련된 매우 유명한 실험 하나를 보겠습니다.
[출처: 네이버 TV캐스트-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442661&cid=51627&categoryId=51627&expCategoryId=47305]
이처럼 생각하지 못한 순간에 우리는 도덕성을 시험 받습니다.
"간단한 거짓말 정도는 상관없지 않을까?"
"뭐. 정치인이나 대기업 회장들도 부도덕한데 이쯤은 괜찮지 않을까?"
"세상 살면서 너무 야박한거 아냐?"
우리는 자신의 도덕성과 관련된 수 많은 상황을 무심코 지나치면서 마지막은 스스로를 위로하며 끝맺음을 합니다.
동영상에 나오는 출연자는 도덕성을 지적당한 불편한 상황을 애써 감추고 싶어 합니다.
어쩌면 부도덕한 자신을 빠르게 잊고 싶은 마음인지도 모릅니다.
그렇습니다.
도덕성은 쉽게 무너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도덕성 훈련을 해야 합니다.
이론으로만 정립되는 것은 아닙니다. 도덕성은 이론을 바탕으로 반드시 체득되는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하지만, 일상에서 도덕성을 어떻게 체득 할 수 있을까요?
내가 마주하는 모든 상황마다 도덕성을 생각 한다면 아마 하루가 지나기도 전에 미쳐버릴 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도덕성에 대한 본인만의 명확한 기준을 설정 해 두는것이 좋습니다.
위 동영상의 경우를 보면 돈(물질)에 인간은 의외로 쉽게 무너집니다.
돈과 관련된 상황에서 우선 중요하게 판단해야 하는 한 가지는
마주한 금액을 나의 인생에 대입하는 방법 입니다.
백만원이라는 돈이라면
그 백만원이 나의 전체 인생을 통털어 얼마나 큰 돈인가? 를 스스로에게 묻습니다.
천만원, 아니 일억이라도 상관없습니다.
그 돈이 내 인생 전체를 좌우 할 만큼의 큰 돈이 아니라면 쉽게 포기 할 줄 알아야 합니다.
돈은 써버리면 사라 집니다.
하지만, 나에 대한 평가는 평생 남을 수도 있습니다.
써 버리면 그만인 돈을 선택할 것인가?
평생 부도덕한 인간으로 욕 먹을 것인가?
이렇게 사용하면 사라지는 것을 영원히 남는 내 이름에 대입하면 의외로 쉽게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거짓말도 마찬가지입니다.
사람은 실수를 할 수도있고, 잘못을 저지를 수도 있습니다.
실수나 잘못은 누구나 하는 것이고 그 잘못을 쉽게 인정하지 않으면 어떤 상황이 벌어질까요?
상황을 모면하기 위한 핑계나 거짓말은 그 상황에서 벗어나는 현명한 방법이 아닙니다.
결국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결국 남는것은 나에대한 타인의 평가가 남습니다.
그 평가가 앙금이 되면 좋지못한 평가는 매우 오랫동안 지속 될 것입니다.
쉽게 인정하고, 진실하게 반성하면 그 상황은 빠르게 종결되고 사람들의 기억에서도 빠르게 사라집니다.
사람들은 나의 잘못을 일일이 기억 할 만큼 한가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거짓말이 나에게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잘못된 인식은 버려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이런 여러 상황에 대한 자기 반성이 필요합니다.
속상한 상황에서 벗어난 것도 힘들었는데 그 상황을 다시 되 짚고 싶지는 않겠지요.
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단계입니다.
성인 군자가 아닌 이상 누구나 하루에 한,두번 정도는 비 도덕적인 행동을 합니다.
간단한 거짓말 부터 교통신호를 위반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비 도덕적인 상황을 인지하면 하루종일 그 상황을 반성하면 도덕성에대한 학습이 됩니다.
다시 말하자면 도덕성은 학습과 체득이 반복되어야만 강해집니다.
그 학습은 윤리교육도 있겠지만 체득을 통한 자기 반성이 가장 좋은 학습이 됩니다.
그리거,
언젠가 더 큰 도덕성을 시험 당하는 날
스스로 당당한 도덕성으로 빛을 보게 될 것입니다.
'▶ 습작 노트 > ▷ 교 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 번째 가훈: 예절[2017년 1월~3월] (0) | 2017.01.01 |
---|---|
퐁스 패밀리 법정 (0) | 2016.12.17 |
초등 1학년이 아이가 바라 본 시국 (0) | 2016.11.13 |
첫번째 활동 결과 (0) | 2016.10.10 |
정직:두 번째 활동-실험 동영상을 통해 알아보기 (0) | 2016.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