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습작 노트/▷ 생각 읽기

완전한 자유에서 찾는 행복의 의미

(패밀리) 2016. 4. 2. 08:30

완전한 자유에서 찾는 행복의 의미

No one can be perfectly free yill all free;
no one can be perfectly moral till all are moral;
no one can be perfectly happy till all are happy.

모두가 자유롭기 전에는 아무도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
모두가 도덕적이기 전에는 아무도 완전히 도덕적일 수 없다.
모두가 행복하기 전에는 아무도 완전히 행복할 수 없다.
-하버트 스펜서-

완전한 자유의 의미.

자유란 외부적인 구속이나 무엇에 얽매이지 않고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누구나 자유를 누릴 권리가 있으며, 누구나 그 자유를 침해하지 않아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위의 말에서 이야기하는 <모두가 자유롭기 전에는 아무도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란 무엇일까요? 이 물음에 대해 생각해 보기 전에 완전한 자유의 의미를 먼저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자유는 나의 행동이 억압받지 않을 권리를 뜻합니다. 하지만, 지금 우리가 누리는 자유가 완전한 자유에 해당할까요? 우리는 자유와 방종의 의미를 익히 잘 알고 있습니다. 제멋대로 행동하여 타인에게 피해를 입히는 행동들을 방종이라 합니다. 이 방종된 행동을 자유라고 인정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내가 스스로 타인에게 구속당하거나 구속하지 않으면서 완전한 자유를 누릴 수 있을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어쩌면 인간은 태어나기 이전부터 완전한 자유를 누릴 수 없는 존재인지도 모릅니다. 태어나기 전인 태아 때부터 우리는 어머니의 양수라는 공간에서만 생존 가능한 존재입니다. 탯줄 하나로 연결되어 양분을 공급받는 그 존재는 완전한 자유를 누리는 존재는 아닐 것입니다. 물론 생존의 영역을 제외한 자유를 말하는 것은 과도한 적용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머니의 몸 밖으로 나온 신생아 때부터 이야기해도 마찬가지입니다. 생존에 필요한 요소들 이외에 필요한 모든정보는 온전히 부양자의 선택에 달려있습니다. 인간이 자아에 의한 행동을 하는 단계에 접어들더라도 그때부터는 규범, 관습, 실정법, 도덕 등 다양한 사회적 장치들에 묶여 살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철학적 접근도 인간이 성장하는 것은 완전한 자유를 누리기 위함이 아닌 스스로를 통제하고 사회의 약속에 묶여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쩌면 이런 성장과정 자체가 생존이라는 단 하나의 목표를 만족 시키기위함인지도 모릅니다. 사회가 덜 발달된 원시 세계를 보더라도 인간이 완전한 자유를 누리기위해 스스로 집단 속에서 나갈 경우 그때부터 직면한 과제는 자유를 어떻게 누릴 것인가가 아닌 어떻게 생존할 것인가를 먼저 고민해야 합니다. 이렇듯 인간은 생존을 위한 구속과 약속에 스스로 얽매였고 이는 자유를 누리기 위한 구속이 되기도합니다. 결국 완전하다는 것은 불완전하다는 말이 기도합니다. 단지 우리는 불완전한 자유를 완전하다고 느낄 뿐입니다.

그렇다면 모든 인간이 자유로울 수 있을까요? 앞서 이야기했듯이 인간은 규범, 도덕, 법 등 스스로 만든 약속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비록 내가 이런 장치들에서 벗어나 완전한 자유세계에 발을 들였다 하더라도-무인도가 그러하겠습니다. 그때부터는 자유보다는 생존을 걱정 해야 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이 문제는 다시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시말해 인간은 이미 사회적인 동물로 살아가는 이상 모두가 자유로울 수는 없습니다. 나와 관계된 무수한 타인 중 누구 하나라도 자유롭지 못하다면 나 역시 온전한 자유를 누릴 수 없기 때문입니다. 모든 상황에서 사실 자유로운듯 하지만 모든 상황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이 바로 인간입니다. 우리는 그것을 느끼지 못할 뿐입니다. 아침에 일어나 밤에 잠이 들때까지 우리는 자유로우면서도 자유롭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모든 인간은 자유롭지 못하 게 됩니다.

위의 이야기 중 무인도로 갔을 경우를 예시로 짚어 보겠습니다. 사회의 테두리에서 벗어나 나 혼자 완전한 자유를 누릴 수 있는 공간에 있습니다. 여기에서 누리는 자유는 이제부터 온전히 생존을 위한 도구가 되어버립니다. 아침에는 식량을 얻기 위한 활동을 하며, 밤에는 안전한 장소를 찾아 몸을 숨겨야하는 것. 나를 해칠수 있는 해충과 야생동물로부터 나를 보호해야 하는 일련의 행위들이 과연 자유롭다 할 수 있을까요? 사회적 장치에 벗어났지만 그 이후에는 자연의 법칙을 따라야 합니다. 그것을 거스른 행동은 죽음으로 끝나게됩니다. 결국 스스로 생존을 위해 약속된 행동들은 스스로 자유를 얽매는 조건들이 됩니다.

이제 우리는 완전한 자유보다 모두가 편하게 살 수 있는 자유를 추구해야 합니다. 모두가 도덕적이기 전에는 아무도 완전히 도덕적일 수 없으며 모두가 행복하기 전에는 아무도 완전히 행복할 수 없습니다. 누구나 행복하고 누구나 웃을 수 있는 세상 속에서 우리는 진정 행복하게 웃을 수 있습니다.

이 이야기의 결론은 다른 데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을까요? 나와 가족이 누리는 이 행복을 후손에게 물려주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만 할까요? 우리가 불편하게 생각했던 것들. 우리가 외면했던 많은 사건과 많은 이야기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입니다. 어둡고 우울하여 피한다고 해서 결코 우리는 행복해 지지 않습니다. 모 오락프로에서 어떤 연예인이 외쳤던 "나만 아니면 된다"라는 개인주의의 팽배는 결국 나의 후손들의 불행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우리가 모두 행복한 생활을 할 때 비로소 나와 나의 아이. 그리고 그 아이의 아이도 행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습작 노트 > ▷ 생각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와 국민[시민 불복종]  (0) 2016.05.02
우리는 이 사람을 선택할 수 있을까?  (0) 2016.04.13
진리와 진실  (0) 2016.04.02
올바른 우리의 선택은?  (0) 2015.04.14
박태환과 불편한 시선  (0) 2015.03.28